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머스크같은 기술모험주의자는 대량생산 자동차랑은 안 맞죠

[머스크같은 기술모험주의자는 대량생산 자동차랑은 맞죠]

(2018.3.30 작성) 

머스크가 자동차회사이름을 테슬라로 지은 데서 드러나듯이 기술모험주의가 강한 사람이에요. 테슬라는 전기공학의 천재라고 했지만 현실 비즈니스에서는 실패한 사람이니 비즈니스에 충실하고자 하는 사람이 회사 명칭으로 이름은 아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스크가 테슬라라는 명칭을 자체가 테슬라라는 기술주의자를 동경한 것이고 동일시한 것이고, 테슬라는 실패했어도 자기는 성공하겠다는 결의의 표현이겠죠.

 

모델3 대량생산화과정이 가장 고민거리일텐데, 과연 생산이 된다고 해도 사람들이 구매해줄지가 문제죠. 자동차는 전자제품이 아니거든요. 전자제품은 이상하면 껐다가 켜면 되고, 고장나면 다른 것으로 대체하면 되죠. 자동차는 외양이니 무슨 기술이니 앞에 내세우지만 기본 backbone 안전이에요. 한번 사고나면 죽거든요. 기존에 수백만 대를 생산하는 메이저들도 안전사고에서 자유롭지는 못하지만 자금력이 있고 생산라인과 부품조달을 조정할 능력이 있으니 버티죠. 이에 반해서 테슬라는 전자제품으로서의 자동차를 만들기 급급하다는 인상을 주죠. 과연 자동차 메이저들이 오랫동안 터득해왔거나 경험으로 확인한 안전조처를 테슬라가 반영했을지가 의문이구요. 특히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는 보넷을 충격완충부위로 활용하고 있는데, 테슬라 전기차는 부위가 없죠. 아래 사진처럼 보넷 부위가 날라가버린 장면은 장면 자체만으로 scary하고 테슬라 자동차의 이미지로 고착되는 거에요.

 

기술모험주의가 강한 사람은 대중용 제품을 생산하면 안되요. 기술모험주의는 niche 어울려요. 모델3보다는 모델x 정도로 하면서 안전등 품질관리 수준을 높인다던지, 또는 머스크가 하는 로켓 좋죠. 로켓 발사하거나 날아가다 폭발해도 '위대한 도전'이라고 칭찬받거든요. 자동차는 달리다가 조금만 이상한 있어서 품질하자라고 난리나거든요. 자동차는 그만큼 보수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비즈이죠.

 

아래 인용처럼 테슬라가 점점 파산의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파산했다고 치고 테슬라가 그래도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어떤 기업이 인수할지 또는 바람직한지가 관심사죠. 원래는 애플도 인수자로 거론되기는 했는데 애플도 역시 전자제품만 만든 회사라 자동차는 무리인 듯해요. 기존 자동차 중에서 전기차 라인업이 약한 회사가 인수하면 어떨까 싶어요. 회사들은 안전조처를 능력이 있으니까요. 저는 전기차보다는 수소차가 장기적으로 낫다고 보기는 하는데, 전기차도 일정한 niche에서는 유효하거든요. 자동차회사들도 일시에 플래폼보다는 여러 플래폼이 회사 내에서도 병존할 같거든요. 그리고 테슬라가 독립전기차로서 실패하게 된다면, 역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회사들이 승리하는 것이기도 하죠. 이것은 또한 내연기관차를 건너뛰고 전기차에 올인하는 듯한 중국의 자동차회사들에게도 고민거리인 것이구요.

 

--인용

하지만 또다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테슬라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걷잡을 없이 커지는 분위기다. 27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8% 급락한 279.18달러를 기록했다. 주가만 떨어진 아니다. 테슬라의 기업 신용등급도 떨어졌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날 테슬라 신용등급을 B2에서 B3 단계 강등했다. B 시작하는 등급 중에서 가장 낮은 단계다. 부도 위험이 높은 정크본드수준이라는 뜻이다. 무디스는 테슬라의 보급형 전기차인 모델3 생산 차질이 심각하고 유동성 압박도 크다면서 신용전망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테슬라의 신용등급을 C등급 수준으로 낮출 있다는 뜻이다.

 

일각에서는 테슬라의 파산 가능성까지 거론한다. 헤지펀드 빌라스캐피탈매니지먼트의 톰슨 최고경영자(CEO) 미국의 온라인 시장전문매체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회사는 이익을 내야하지만 테슬라는 번도 흑자를 적이 없다. 일론 머스크가 마법을 부리지 않는 테슬라는 4개월 내에 파산할 이라고 말했다.

 

http://media.daum.net/v/20180328172748997?f=m


https://www.facebook.com/KIM.Seokhyeon.ik/posts/1981333665211799